본문 바로가기
알트코인 기술적 분석

이더리움 클래식 가격 전망 차트 분석

by 비트코인 알트코인 분석가 2024. 4. 17.
반응형

이더리움클래식 가격전망과 차트에 대한 기술적 분석 자료입니다. 최근 비트코인이 많은 상승을 하였다가 일부 조정을 받고 있는데요. 이더리움 클래식 차트의 일봉, 주봉, 월봉을 기준으로 보조지표인 스토캐스틱을 활용해서 기술적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 차트 기술적 분석(일봉 기준)

 

이더리움 클래식은 현재 39000원의 가격대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고점은 약 57000원입니다. 최근 고점 57000원에서 하락했다 반등 이후 재차 하락 중인데요. 아래 일봉 차트를 보시면 최근 최고점인 57000원과 50000원을 연결한 하락추세선이 있고 이 하락추세선을 넘어서야 상승으로의 추세선을 그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최근저점끼리 연결한 하락추세선과 최근 고점끼리 연결한 하락추세선이 대략적으로 평행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이는 신뢰가 높은 추세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최근 고점끼리 연결한 추세선과 저점끼리 연결한 추세선에 가운데에 1번 추세선을 그려 넣었습니다.

 

 

 

출처 : 업비트 / 이더리움클래식 일봉 차트
출처 : 업비트 / 이더리움클래식 일봉 차트

 

 

이 가운데 추세선은 하락추세선의 평균을 나타내며 이 가운데 추세선도 이더리움클래식 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저항과 지지선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 형성된 하락추세선을 어떤 방식으로 뚫고 올라갈지를 눈여겨보시면 되는데요.

 

보통 이렇게 하락을 하게 되면 하락이 멈춘 이후에도 옆으로 횡보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하락의 에너지가 어느 정도 소진되며, 이 하락에너지가 상승에너지로 바뀌면 다시 재차 하락추세선을 뚫고 상승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더리움 클래식 차트 기술적 분석(주봉 기준)

 

이더리움클래식 주봉 차트입니다. 현재 이더리움클래식은 고점 57000원을 터치하고 하락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 하락이 어느 가격대까지 이어질까에 대해서 고민해 봐야 되는데요.

 

가장 아래의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를 분석해 보면, 현재 주봉의 5-3-3 스토캐스틱은 하방을 가리키고 있으며, 아직 침체권에 도착하지 않아 하락이 조금 남아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10-6-6- 스토캐스틱도 마찬가지로 하방을 가리키고 있으며 20-12-12 스토캐스틱은 아직은 옆을 횡보하고 있습니다. 

 

출처 : 업비트 / 이더리움클래식 주봉 차트
출처 : 업비트 / 이더리움클래식 일봉 차트

 

 

이런 경우 5-3-3 스토캐스틱이 침체권에 도달해서 단기 반등이 나온 이후에 다시 하락이 시작될 때 20-12-12 스토캐스틱이 하방을 바라보면서 큰 하락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봉 기준이기 때문에 단기 반등은 또 우리에게 수익을 주는 구간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비트코인 투자를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에 따라 동일하게 분석을 하고도 돈을 벌기도 하고 손해를 보기도 합니다. 그 부분 중에 가장 큰 부분이 잦은 매매를 할 경우 코인 매매의 수수료 때문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수익을 내기 위해 잦은 매매를 하는 경우도 매우 많은데요.

 

하지만 이런 잦은 매매가 매번 큰 수익을 가져다주면 상관없지만, 너무 불필요하게 매매가 많아지면 오히려 매매수수료가 내 수익을 깎아먹는 케이스가 되기도 합니다. 매매수수료가 크지 않다고 해도 이런 부분을 감안하셔서 투자를 진행하셔야겠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 기술적 분석(월봉 기준)

 

이더리움클래식 월봉 차트 기술적 분석입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의 월봉을 보시면 약 5개월간 양봉을 보이다 이번달에 큰 음봉을 보이고 있습니다. 상승은 보통 큰 3번의 상승으로 이뤄집니다. 상승 1번, 하락 1번, 상승 2번, 하락 2번, 상승 3번 그리고 대세 하락 이런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현재 이더리움클래식의 월봉을 보면 최근 상승을 한 번의 상승 1로 보고 지금 진행 중인 하락을 하락 1번으로 본다면 이다음에 상승 2는 보통 상승 1번보다 매우 큰 상승을 보이기 때문에 이 상승이 어디까지 이뤄질지 기대가 되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하락을 거치고 있으며, 이 하락이 어느 가격대까지 하락하느냐에 따라 그다음의 상승폭도 결정되게 됩니다. 이런 것들은 모두 차트의 기술적 분석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기술적 분석은 과거부터 오랜 시간 전해져내려 오는 기술입니다.

 

 

출처 : 업비트 / 이더리움클래식 월봉 차트
출처 : 업비트 / 이더리움클래식 일봉 차트

 

 

이더리움클래식의 월봉의 하단의 스토캐스틱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월봉의 20-12-12는 바닥을 다지고 상승 초입을 보이고 있습니다. 10-6-6은 잠시 쉬어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5-3-3은 잠시 눌림 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스토캐스틱 5-3-3이 눌렸다가 다시 상승방향을 보인다면 10-6-6 스토캐스틱과 20-12-12 스토캐스틱은 다시 상방을 바라보면 상승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판단됩니다.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더리움클래식의 차트를 일봉, 주봉, 월봉 기준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도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월봉을 보았을 때는 큰 상승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월봉 기준이고 투자하는 상품이 비트코인이기 때문에 그 변동성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됩니다.

 

월봉이 한 번만 꺾여도 하락의 크기는 매우 크기 때문에 투자를 어느 기준에 맞추어서 할 것인지를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