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트코인 기술적 분석

리플 차트 분석 가격 전망

by 비트코인 알트코인 분석가 2024. 4. 17.
반응형

리플 가격전망과 차트에 대한 기술적 분석 자료입니다. 2024년 4월 17일 기준 리플 차트의 일봉, 주봉, 월봉을 기준으로 보조지표인 스토캐스틱을 활용해서 기술적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리플 차트 기술적 분석(일봉 기준)

 

리플 일봉차트 입니다. 현재 리플 가격은 740원대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고점은 1032원입니다. 고점 1042원을 찍고 하락추세중에 있는데요. 최근 고점인 1032원과 913원의 고점을 연결한 하락 추세선은 진행중이며, 현재 약 740원대의 가격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저 아래에서부터 올라오는 상승추세선을 붉은색으로 표기하였는데요. 이 붉은선의 상승 추세선과 현재 맞닿아 있으며, 이 붉은선의 상승추세선을 이탈한다면 현재의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대까지 하락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출처 : 업비트 / 리플 일봉 차트
출처 : 업비트 / 리플 일봉 차트

 

 

아래에 보조지표인 스토캐스틱을 분석하자면 20-12-12 스토캐스틱은 바닥을 잡는 중인 것으로 생각되고, 5-3-3, 10-6-6 스토캐스틱은 아직 어느방향으로 갈지 결정이 안된 상태 같습니다. 우선은 최근에 큰 하락을 했기 때문에 이후 방향이 결정될 때까지 조금 더 기다리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리플 차트 기술적 분석(주봉 기준)

 

리플 주봉 차트입니다. 아래 주봉차트를 보면 과거 2021년 4월에 최고점 2500원에서부터 내려오는 하락추세는 벗어났으며, 옆으로 긴 시간 횡보하면서 약간의 상승 추세를 만들어가는 모습니다. 2022년 10월부터는 옆으로 횡보하면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모습이네요.

 

일정 가격대를 박스로 만들어서 그 가격대 안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것으로 보이며, 최근 고점을 넘기는 상승이 나온다면 레벨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업비트 / 리플 주봉 차트
출처 : 업비트 / 리플 일봉 차트

 

 

하지만 마지막 부분의 스토캐스틱을 분석해보면 주봉의 20-12-12 스토캐스틱은 방향성 없이 옆으로 횡보하는 모습이고, 5-3-3과 10-6-6 스토캐스틱은 아직은 하방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현재 리플의 가격대가 1번 지점에 있으며, 주봉의 스토캐스틱을 보았을 때 한번 더 하방이 남았다면 2번 또는 3번 가격대까지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한번 더 하락 시 반드시 반등은 나오므로 그 반등 구간이 투자할 구간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리플 차트 기술적 분석(월봉 기준)

 

아래는 월봉 기준의 리플 차트입니다. 리플은 과거 큰 상승이후 재차 2500원 가격대까지 상승하였으며, 현재는 옆으로 횡보하면서 수렴을 해가는 과정이라고 보여집니다. 고점 2500원에서부터 내려오는 하락추세는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며, 옆으로 횡보 후에 방향성을 가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출처 : 업비트 / 리플 월봉 차트
출처 : 업비트 / 리플 일봉 차트

 

 

아래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를 분석하자면 20-12-12 스토캐스틱은 아직 상승 가능성이 있어보이며, 5-3-3 과 10-6-6 스토캐스틱은 현재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어쩌면 비트코인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가기 위한 준비상태 같습니다.

 

위와같은 차트는 어느 방향으로든 갈 수 있는 차트이며, 차트의 방향성이 생기면 그 때 투자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마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플의 차트를 일봉, 주봉, 월봉 기준으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현재 리플은 방향성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옆으로 횡보하는 것으로 보이며, 비트코인과 같은 방향성을 보이기 위해 준비하는 단계로 판단됩니다.

 

비트코인 투자와 마찬가지로 리플 투자도 방향성이 정해지면 그 때 투자해도 늦지 않습니다. 향후 리플의 전망은 가장 큰 월봉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상승의 가능성이 좀 더 커 보이지만 중간중간 변동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약에 투자를 한다면 한번에 진입하는 것이 아닌 가격대에 맞춰서 평균단가를 맞춰 투자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반응형